주례 없는 결혼식은 주례와 주례사가 없는 결혼식을 말합니다. 요즘은 자유로운 예식의 선호도가 높아져 그 형식과 절차가 간소화되거나 특색 있는 이벤트들로 채워져 많은 커플이 주례 없는 결혼식을 선택하고 있어요.
하지만 주례가 없다고 해서 주례 자체의 의미와 형식이 생략된 것은 아니며, 양가 부모님이 대신 주례자의 역할을 맡아 신랑 신부의 앞날을 축복하는 덕담을 나눕니다.
예식 자체를 이끄는 사회자의 역할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전문 사회자를 초빙하는 경우가 많고, 사회자의 역량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절차가 자유로운 편이라 동영상 상영이나 지인의 축사, 신랑의 프로포즈 세레나데, 뮤지컬 축가 등 특색 있는 이벤트 행사들로 채워져 신랑과 신부의 특별한 준비가 필요해요.
주례 없는 결혼식은 비교적 형식이 자유로운 편이지만, 형식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며 신랑과 신부의 생각에 따라 식순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형식을 너무 많이 생략하면 오히려 어수선하고 허전할 수 있으니 기본적인 결혼식의 식순 형태를 숙지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연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례 없는 결혼식의 일반적인 식순
1. 안내 및 개식사
사회자가 멘트를 통해 하객들이 자리에 착석하도록 안내하고, 하객들이 착석한 후 간단한 인사와 함께 결혼식의 시작을 알립니다.
2. 화촉 점화
양가 어머니들이 앞으로 나와 촛불을 점화합니다.
3. 신랑, 신부 입장 후 맞절
예식의 주인공인 신랑과 신부가 입장합니다.
먼저 신랑이 입장한 후, 신부가 신부 아버지의 손을 잡고 입장합니다.
요즘은 상황에 따라 신랑과 신부가 함께 입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혼인 서약
신랑, 신부가 직접 쓴 편지나 부모님께 쓴 편지를 낭독한 후, 준비된 예물이나 커플링을 교환합니다.
5. 성혼 선언문 낭독
서로에게 다짐하는 약속을 가족과 하객들 앞에서 낭독하는 혼인 서약서와 함께 신랑, 신부가 이 결혼식으로 부부가 되었음을 알리는 성혼 선언문이 낭독됩니다.
6. 축사 및 인사
양가 부모님이 신랑과 신부를 위해 덕담을 전하는 시간입니다.
신랑과 신부는 자신들을 길러주신 부모님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7. 축가, 이벤트 및 행진
주례 없는 결혼식에서 가장 기대되는 순서이자 재미있는 시간입니다.
신랑이 신부에게 사랑의 노래를 불러주거나 초빙된 가수 혹은 친구들이 나와 축가를 부릅니다.
상상을 초월하는 기발하고 재미있는 이벤트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8. 인사 후 퇴장
신랑과 신부가 하객들에게 감사와 고마움의 인사를 전하는 시간입니다.
그리고 입장했던 문으로 팔짱을 끼고 퇴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