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비용 중 가장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건 신혼집일 텐데요. 그건 예비부부들마다 자산의 개념으로도 들어가고 워낙 금액 편차가 심하죠. 일반적으로 결혼 준비를 하는 분들의 집을 제외한 결혼식 비용이 얼마나 들어가는지 알아보고, 또 결혼비용을 알뜰하게 줄이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웨딩홀 비용
결혼에서 가장 많이 들어가는 건 웨딩홀 비용인데요. 요즘 웨딩홀 식대가 너무 많이 올랐어요. 서울 지역의 호텔을 제외한 평균 식대가 5-6만 원 정도였다면, 요즘은 7만 원 이상이 웨딩홀 식대 비용인 것 같아요.
그리고 식대뿐만 아니라 대관료, 꽃 장식들도 많이 올라서 예비부부들을 많이 힘들게 해요. 웨딩홀 비용은 결혼식 비용 중 가장 큰 비용이고, 오시는 하객 수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지만 하객 200명 정도면 1500만 원에서 2천만 원 정도일 것 같아요. 하지만 하객이 많이 오더라도 나쁘지 않은 건 결혼식 축의금이 있기 때문이죠. 대부분 웨딩홀 비용은 결혼식 축의금으로 충당하는 경우가 많아요.
신혼여행 비용
신혼여행 비용도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품목인데요. 2인 기준으로 500-1000만 원 정도가 요즘 신혼여행 비용이에요. 신혼여행이 일반 여행보다 많이 비싼 건 숙소 때문이에요. 보통 풀빌라나 럭셔리 리조트에서 머물기 때문에 방값으로 지출되는 비용이 최소 1박에 50만 원 이상이랍니다. 결혼식 비용 중 가장 큰 품목 중의 하나예요.

예물 비용
예물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가격 편차가 심하죠. 웨딩밴드만 하느냐, 기타 다른 보석들도 추가하느냐, 아니면 다이아 반지를 하느냐 등등에 따라서요. 명품 웨딩밴드의 경우 500-1000만 원 사이정도고요, 웨딩밴드만 하실 경우 100-300만 원 (종로, 청담 예물), 다이아 1캐럿 같은 경우는 700-1000만 원 정도로 예산을 잡으시면 될 것 같아요.
스드메 비용
스드메는 보통 웨딩컨설팅 업체를 이용하는데요, 같은 스드메 업체도 100에서 많게는 200 정도 차이가 나요. 그래서 비용을 정보에 따라서 아낄 수 있는 게 스드메예요. 비동행컨설팅의 경우 150만 원, 동행웨딩컨설팅의 경우 250-300만 원 정도 스드메 견적을 예상하시면 돼요.
단, 이게 끝이 아니라 엄청난 추가금 파티가 있어요. 스튜디오 셀렉, 원본비, 액자 구매비, 드레스 투어비, 헬퍼비, 200만 원 정도는 추가금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남성 예복 비용
남자들의 웨딩드레스가 남성 예복이에요. 보통 100-200 사이에서 생각하시면 돼요. 가격 차이는 종로냐, 청담이냐, 국내 원단이냐, 수입 원단이냐에 따라서 달라진답니다. 혼수 품목들은 플래너 소개로 갈 경우 전부 20% 정도씩 수수료가 플래너에게 돌아가니 가급적 직거래로 가격을 낮춰보세요.
한복 구매 vs 한복 대여
요즘 한복 구매를 하지 않고 한복 대여로 시장이 바뀌었다가 결혼식에서 한복이 빠질 위기에 처해 있어요. 그래도 우리의 전통인데 가급적이면 대여라도 해서 촬영하시기를 바래요. 가격은 너무 천차만별이라서 어려운데요, 대여 가격은 20만-50만 원까지 생각하세요.
본식 촬영 및 영상 비용
본식 스냅 촬영은 웨딩컨설팅 없이 직접 혼수처럼 예약이 가능해지고 있어요. 스드메와 달리 대부분 정찰제가 되어 가고 있어요. 60-150만 원 정도가 일반적인 본식 스냅 가격이고요, 영상은 40-100만 원 정도는 생각하셔야 해요.
기타 청첩장, 축가, 사회자 등
합쳐서 200만 원 정도 생각 하시면 되요.

결혼비용도 정리가 필요해요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비용들만 이 정도랍니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결혼 비용을 지출하면서 당연히 지출 금액 정리가 있어야겠죠. 그래서 간단하게 이런 결혼식 비용들을 정리할 수 있는 엑셀을 활용한 파일에 정리해보세요. 어플들도 있지만 이런 돈 정리는 컴퓨터 앞에 앉아서 계약서 정리해 가며 엑셀로 정리하는 게 최고죠.
이렇게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데 결혼식 비용 정리만 잘해도 새는 돈 100만 원은 충분히 절약하실 수 있어요. 정리와 지출 꼼꼼하게 메모 해놓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