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결혼 준비 비용은 정말 천차만별인 것 같아요! 누군가는 몇천만 원에 했다, 또 누군가는 1억까지 들었다고 하고요. 제 주위 친구들만 봐도 비용이 정말 많이 갈리더라고요.
어떤 것에 욕심을 내고, 또 어떤 것은 과감히 생략할지에 따라 결혼 비용 견적도 크게 달라지는 것 같아요.
결혼 준비 비용의 큰 틀을 잡아보면 결혼식에 드는 비용, 신혼여행, 신혼집, 신혼 가구 & 가전 등이 있는데요, 저는 우선 결혼식에 드는 비용만 생각했어요.
신혼집을 마련하는 데 드는 비용은 금액이 너무 크다 보니 결혼 준비 비용에 포함시키면 예산 잡기가 더 힘들어지더라고요.
제가 정리한 결혼 준비 비용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아요.
- 웨딩홀
- 스드메
- 남편 예복
- 본식 사진 촬영
웨딩홀은 대관료와 식대료가 꽤 많이 나갔어요. 그런데 웨딩홀 비용은 축의금으로 어느 정도 충당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대료가 조금 비싸더라도 하객분들께 성의를 보이고자 음식 후기가 좋은 곳을 선택했어요.
스드메는 플래너 없이 준비했어요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는 처음에 컨설팅을 통해 계약하려고 했는데, 플래너의 응답이 빠르지 않고 잘 맞지 않는 것 같아서 과감히 워킹으로 준비했어요. 다행히 예랑이가 많이 도와줘서 워킹으로 준비해도 불편함이 없었어요. 요즘에는 스튜디오에서도 패키지 상품이 많아서, 컨설팅을 이용하지 않아도 패키지를 준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더라고요.
저는 섬스튜디오의 리허설 촬영 패키지와 본식 패키지를 함께 계약했어요. 스드메 예산으로 약 300만 원 정도를 생각했었는데, 다행히 200만 원 후반대 금액으로 본식 드레스까지 포함된 패키지를 계약할 수 있었어요. 물론 여기에서 헬퍼 이모님 비용, 촬영 수정본, 부케 등의 추가 금액이 들겠지만, 그래도 만족스러운 선택이라고 생각해요.

남자예복은 국내원단으로
남편 예복은 저희 아버지께서 사위 선물로 한 벌 해주신다고 해서 그렇게 준비하기로 했어요. 맞춤으로 제작하기로 했는데, 외국 원단이 아닌 국내 원단으로도 가능하다고 해서 친정에서 지원해주시긴 하지만 줄일 수 있는 부분에서 아껴보려 했어요.
본식사진은 가성비
본식 사진 촬영은 본식 DVD와 본식 스냅 두 가지를 모두 계약했어요. DVD는 꼭 해야 하나 싶었지만, 주변에서 꼭 하라고 권해서 가성비로 유명한 업체를 알아보고 겨우 계약했어요. 가성비 좋은 업체들은 예약이 빨리 마감되기 때문에, 생각 있으신 분들은 미리미리 준비하시길 추천드려요. 그리고 혹시 안 될 가능성도 고려해 2순위, 3순위도 준비해두는 것이 좋아요.
무조건 해야 하는 것들만 준비해도 이 정도네요. 아직 예물과 한복도 준비를 못 했는데, 더 부지런히 움직여야겠어요!